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리그 주니어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K리그 주니어
파일:K리그주니어.svg
정식 명칭K리그 주니어
(K League Junior)
창설2008년 3월 22일(16주년)
참가 자격한국프로축구연맹에 가입한 구단의 유소년 구단
주관한국프로축구연맹
주최한국프로축구연맹, 대한축구협회
최근 우승 구단18세 이하FC 서울 U-18(2022후)
15세 이하A조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5(2022)
B조 전북 현대 모터스 U-15(2022)
최다 우승 구단18세 이하울산 현대 U-18(9회)
15세 이하전북 현대 모터스 U-15(2회)
부천 FC 1995 U-15(2회)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5(2회)
웹 사이트파일:K리그주니어.svg 홈페이지
파일:K리그주니어.svg 데이터 포털
소셜 미디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
2. 역사
3. 참가 구단
3.1. U-18
3.2. U-17
3.3. U-15
3.4. U-14
4. U-18 연혁
4.1. 역대 우승 구단
4.2. 우승 횟수
5. U-15 연혁
5.1. 역대 우승 구단
5.2. 우승 횟수
6. 스폰서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축구협회한국프로축구연맹공동 주최해 한국프로축구연맹에 가입한 구단의 18세 이하(U-18), 15세 이하(U-15) 구단이 참가하는 유소년 리그다.


2. 역사[편집]


  • 2008년 고교클럽 챌린지리그라는 명칭으로 처음 출범하였으며, 2012년 K리그 U-18 챌린지리그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2013년 K리그에 2부 리그가 창설되고, 리그 명칭을 K리그 챌린지로 정하자, 명칭의 혼동을 막기 위해 기존 챌린지리그 명칭을 다른 이름으로 바꿔야했다. 결국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챌린지리그 명칭을 대체할 다른 명칭을 공모하기로 결정하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공모 받은 명칭들 중 5개의 명칭을 선별하였고, 팬 투표를 통해 최종 명칭을 낙점하기로 하였다. 후보에 오른 5개의 명칭들 중 K리그 주니어가 가장 많은 36%(816표)의 선택을 받았고, 공식 명칭으로 낙점되었다. 이에 따라 2014년부터 K리그 주니어라는 명칭으로 대회를 운영하고 있다.

  • 본래 U-18 리그 뿐이었던 K리그 주니어는 2019년부터 U-15 리그를 추가하여 유소년 리그의 연령대를 확장시켰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020년부터 연맹에 가입된 모든 구단들의 U-12, U-15, U-18 유소년 구단 구성 및 관리를 의무화시켰으며 장기적으로 U-12부터 U-18까지 전 연령대를 아우르는 유소년 리그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있다.

  • K리그 주니어 U-18은 전후기 리그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기 리그는 중부 권역의 11팀으로 구성된 A조와 남부 권역의 11팀으로 구성된 B조로 나뉘어, 각 조마다 1라운드 로빈 총 10라운드의 리그전을 치러 우승을 가린다. 2018년까지는 후기 리그도 전기 리그와 같은 방식으로 치러졌지만, 2019년부터 K리그1의 스플릿 제도를 차용하면서 후기 리그의 방식과 성격이 변화하였다. 전기 리그의 결과에서 각 조의 1위부터 5위까지의 팀은 후기 리그의 A조로 배정되고, 7위부터 11위까지의 팀은 후기 리그의 B조로 배정된다. 그리고 남아있는 각 조의 6위 는 승점>페어플레이 점수>추첨 순으로 우열을 정해 우위에 있는 구단이 A조로 배정되고, 열위에 있는 구단이 B조로 배정된다. 결국 후기 리그에서 A조는 전기 리그의 결과에 따라 정해진 상위 스플릿이며, B조는 하위 스플릿이다. 후기 리그도 각 조마다 1라운드 로빈 총 10라운드의 리그전을 치러 우승을 가린다. 단, 후기 리그는 전기 리그의 파이널 라운드와 같은 성격을 갖기 때문에, 전기 리그와 다르게 각 조를 나누어 개인상을 시상하지 않으며 A조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을 후기 리그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으로 간주한다. 또한 후기 리그 A조의 상위 4팀에게는 전국 고등리그 왕중왕전 출전권을 부여한다.

  • 2019년 추가된 U-15 리그는 단일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며, 중부 권역의 11팀으로 구성된 A조와 남부 권역의 11팀으로 구성된 B조로 나뉘어, 각 조마다 2라운드 로빈 총 20라운드의 리그전을 치러 우승을 가린다.


3. 참가 구단[편집]



3.1. U-18[편집]


구단명유소년 구단명
A조
강원 FC강릉제일고등학교 축구부
김포 FC김포 FC U-18
부천 FC 1995부천 FC 1995 U-18
FC 서울오산고등학교 축구부[1]
서울 이랜드서울 이랜드 U-18
성남 FC풍생고등학교 축구부
수원 삼성 블루윙즈매탄고등학교 축구부
수원 FC수원 FC U-18
안산 그리너스안산 그리너스 U-18
FC 안양안양공업고등학교 축구부
인천 유나이티드인천대건고등학교 축구부
제주 유나이티드제주 유나이티드 U-18[2]
B조
경남 FC진주고등학교 축구부
광주 FC금호고등학교 축구부
김천 상무경북미용예술고등학교 축구부
대구 FC현풍고등학교 축구부
대전 하나 시티즌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
부산 아이파크개성고등학교 축구부[3]
울산 현대현대고등학교 축구부
전남 드래곤즈광양제철고등학교 축구부
전북 현대 모터스전주영생고등학교 축구부
충남 아산 FC충남 아산 FC U-18
포항 스틸러스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4]


3.2. U-17[편집]


  • U-17은 U-18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 고등학교 저학년들을 위한 대회다.


3.3. U-15[편집]


구단명유소년 구단명
A조
강원 FC주문진중학교 축구부
김포 FC김포 FC U-15
부천 FC 1995부천 FC 1995 U-15
FC 서울오산중학교 축구부
서울 이랜드서울 이랜드 U-15
성남 FC성남 FC U-15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 U-15
수원 FC수원 FC U-15
안산 그리너스안산 그리너스 U-15
FC 안양FC 안양 U-15
인천 유나이티드광성중학교 축구부
제주 유나이티드제주중학교 축구부
B조
경남 FC군북중학교 축구부
광주 FC광주 FC U-15
김천 상무문성중학교 축구부
대구 FC율원중학교 축구부
대전 하나 시티즌대전 하나 시티즌 U-15
부산 아이파크낙동중학교 축구부
울산 현대현대중학교 축구부
전남 드래곤즈광양제철중학교 축구부
전북 현대 모터스김제금산중학교 축구부
충남 아산 FC충남 아산 FC U-15
포항 스틸러스포항제철중학교 축구부


3.4. U-14[편집]


  • U-14는 U-15 대회에 참가하지 않는 중학교 저학년들을 위한 대회다.
구단명유소년 구단명
A조
강원 FC주문진중학교 축구부
김포 FC김포 FC U-15
부천 FC 1995부천 FC 1995 U-15
FC 서울서울오산중학교 축구부
서울 이랜드서울 이랜드 U-15
성남 FC성남 FC U-15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 삼성 블루윙즈 U-15
수원 FC수원 FC U-15
안산 그리너스안산 그리너스 U-15
FC 안양FC 안양 U-15
인천 유나이티드인천광성중학교 축구부
제주 유나이티드제주중학교 축구부
B조
경남 FC군북중학교 축구부
광주 FC광주 FC U-15
김천 상무김천문성중학교 축구부
대구 FC율원중학교 축구부
대전 하나 시티즌대전 하나 시티즌 U-15
부산 아이파크부산낙동중학교 축구부
울산 현대울산현대중학교 축구부
전남 드래곤즈광양제철중학교 축구부
전북 현대 모터스김제금산중학교 축구부
충남 아산 FC충남 아산 FC U-15
포항 스틸러스포항제철중학교 축구부


4. U-18 연혁[편집]



4.1. 역대 우승 구단[편집]


연도우승준우승MVP득점왕
2008울산전남이희성(울산)김덕일(성남)
2009서울전남정승용(서울)지동원(전남)
2010수원울산노형구(수원)김흥일(대구)
2011포항전북문창진(포항)이광훈(포항)
2012[5]A조 수원
B조 포항
A조 전북
B조 광주
권창훈(수원)
정원진(포항)
방찬준(수원)
김규민(대구)
2013포항부산이광혁(포항)김신(전북)
2014광주전남나상호(광주)나상호(광주)
2015 전기[6]A조 인천
B조 울산
A조 서울
B조 포항
김동헌(인천)
김건웅(울산)
김문수(안양)
한찬희(전남)
2015 후기A조 인천
B조 포항
A조 제주
B조 울산
최범경(인천)
김동현(포항)
박형민(인천)
권기표(포항)
2016 전기A조 성남
B조 울산
A조 서울
B조 포항
김민규(성남)
문정인(울산)
조상현(서울)
이상헌(울산)
2016 후기A조 수원
B조 울산
A조 인천
B조 포항
-
김규형(울산)
박준하(강원)
손석용(대구)
2017 전기A조 수원
B조 울산
A조 서울
B조 포항
전세진(수원)
박준필(울산)
김소웅(성남)
강영웅(부산)
2017 후기A조 서울
B조 울산
A조 수원
B조 광주
-
-
추민열(부천)
김동범(포항)
2018 전기A조 수원
B조 울산
A조 서울
B조 포항
허동호(수원)
이기혁(울산)
신상휘(수원)
박정인(울산)
2018 후기A조 수원
B조 경남
A조 서울
B조 포항
김태환(수원)
박상필(경남)
서동한(수원)
이승엽(경남)
2019 전기A조 수원
B조 포항
A조 수원FC
B조 전북
강현묵(수원)
-
박경배(강원)
명세진(전북)
2019 후기[7]울산광주안재준(울산)원기섭(안산)
2020[8]A조 서울
B조 광주
A조 수원
B조 전북
이태석(서울)
엄지성(광주)
강성진(서울)
엄지성(광주)
2021 전기A조 강원
B조 울산
A조 서울
B조 전북
-
-
최성민(강원)
성진영(전북)
2021 후기포항전북송한록(포항)장하민(성남)
2022 전기A조 강원
B조 전북
A조 수원
B조 대전
이현석(강원)
이규동(전북)
성기완(강원)
유선우(대전)
2022 후기서울전북-이규동(전북)


4.2. 우승 횟수[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울산 현대
U-18
922008, 2015 전, 2016 전, 2016 후, 2017 전,
2017 후, 2018 전, 2019 후, 2021 전
2010, 2015 후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8
732010, 2012, 2016 후, 2017 전, 2018 전,
2018 후, 2019 전
2017 후, 2020, 2022 전
포항 스틸러스
U-18
662011, 2012, 2013, 2015 후, 2019 전,
2021 후
2015 전, 2016 전, 2016 후, 2017 전, 2018 전,
2018 후
FC 서울
U-18
462009, 2017 후, 2020, 2022 후2015 전, 2016 전, 2017 전, 2018 전, 2018 후,
2021 전
광주 FC
U-18
232014, 20202012, 2017 후, 2019 후
인천 유나이티드
U-18
212015 전, 2015 후2016 후
강원 FC
U-18
202021 전, 2022 전-
전북 현대 모터스
U-18
172022 전2011, 2012, 2019 전, 2020, 2021 전,
2021 후, 2022 후
성남 FC
U-18
102016 전-
경남 FC
U-18
102018 후-
전남 드래곤즈
U-18
03-2008, 2009, 2014
부산 아이파크
U-18
01-2013
제주 유나이티드
U-18
01-2015 후
수원 FC
U-18
01-2019 전
대전 하나 시티즌
U-18
01-2022 전


5. U-15 연혁[편집]



5.1. 역대 우승 구단[편집]


연도우승준우승MVP득점왕
2019A조 부천
B조 전북
A조 인천
B조 포항
김민석(부천)
김래우(전북)
김민석(부천)
박수빈(포항)
2020A조 부천
B조 울산
A조 서울
B조 전북
이병찬(부천)
김민혁(울산)
문성욱(서울E)
황인혁(울산)
2021A조 수원
B조 대전
A조 서울
B조 울산
-
박건우(대전)
유병헌(수원)
한석진(전북)
2022A조 수원
B조 전북
A조 서울
B조 울산
-
-
김동연(수원)
한석진(전북)


5.2. 우승 횟수[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전북 현대 모터스
U-15
212019, 20222020
부천 FC 1995
U-15
202019, 2020-
수원 삼성 블루윙즈
U-15
202021, 2022-
울산 현대
U-15
1220202021, 2022
대전 하나 시티즌
U-15
102021-
FC 서울
U-15
03-2020, 2021, 2022
인천 유나이티드
U-15
01-2019
포항 스틸러스
U-15
01-2019


6. 스폰서[편집]


  •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SBS가 후원했다. 2012년부터 아디다스가 후원하고 있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흰색글씨.svg
대한축구협회 산하 대회





[1] 2013년 이전에는 동북고등학교 축구부와 협약을 맺고 유소년 구단을 운영했다.[2] 2012년까지는 서귀포고등학교와 협약을 맺고 유소년 구단을 운영했다. 하지만 이런저런 사정으로 인해 고등학교 산하 축구부와 협약을 맺어 유소년 구단을 운영하는 것을 그만두고 2013년부터 독자적으로 U-18 구단을 창단하여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소속 선수는 제주제일고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에 학적을 두며 방과 후에 소집해 훈련을 받는다. 제주제일고 축구부와는 상관이 없다.[3] 2014년 이전에는 동래고등학교 축구부와 협약을 맺고 유소년 구단을 운영했다.[4] 2012년까지는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축구부와 협약을 맺고 유소년 구단을 운영했다. 하지만 2013년 포철공고를 마이스터고등학교로 전환하면서 포항제철고등학교 축구부와 협약을 맺고 유소년 구단을 운영하고 있다.[5] 2012년에 참가 구단을 A조와 B조로 나눈 양대 리그 방식으로 리그를 치렀다. 플레이오프는 실시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조별로 우승, 준우승을 시상했다.[6] K리그 주니어는 2015년부터 참가 구단을 A조와 B조로 나눈 양대 리그전후기 리그 방식으로 리그를 치르도록 변경되었다. 플레이오프는 실시하지 않으며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의 기록은 별개의 기록이며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에 각 조별로 우승, 준우승을 시상한다.[7] K리그 주니어는 2019년부터 후기 리그에 K리그1의 스플릿 제도를 차용하면서, 후기 리그의 방식과 성격이 변화하였다. 후기 리그에서 A조는 전기 리그의 결과에 따라 정해진 상위 스플릿이며, B조는 하위 스플릿이다. 후기 리그는 전기 리그의 파이널 라운드와 같은 성격을 갖기 때문에, 전기 리그와 다르게 각 조를 나누어 개인상을 시상하지 않으며 A조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을 후기 리그의 우승 구단과 준우승 구단으로 간주한다.[8]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규모 유행 우려로 인해 전후기 리그가 아닌 단일 리그 방식으로 리그가 치러졌다.